대환대출 비교 은행별 조건표 총정리 (2025년 최신)
2025년 기준으로 주요 시중은행 및 정책금융기관의 대환대출 조건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금리, 한도, 상환 방식, 신청 대상 등을 비교하여 내게 맞는 대출 상품을 선택해보세요.
대환대출은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 상품으로 갈아타는 금융 전략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정부와 은행권이 협력하여 대출자 신용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은행명 | 대출한도 | 대출금리 | 상환방식 | 특이사항 |
---|---|---|---|---|
KB국민은행 | 최대 1억 원 | 연 3.95%~6.5% | 5년 이내 분할 | 모바일 신청 가능 |
신한은행 | 최대 1억 5천만 원 | 연 3.8%~6.0% | 1년 거치 후 4년 분할 | 소상공인 정책자금 연계 |
하나은행 | 최대 1억 원 | 연 4.2%~6.9% | 원리금 균등상환 | 신용점수 하락 방지 설계 |
우리은행 | 최대 8천만 원 | 연 4.0%~6.8% | 자유상환 가능 | 조건부 금리 인하 |
IBK기업은행 | 최대 2억 원 | 연 2.9%~5.5% | 1년 거치, 4년 분할 | 정책자금 우선 배정 |
NH농협은행 | 최대 1억 원 | 연 3.7%~6.3% | 5년 이내 상환 | 농업인 특례 지원 |
이 외에도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에서도 비대면 대환대출을 제공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신청 절차가 더욱 간소화되었습니다.
- 조건이 유사할 경우, 중도상환 수수료 유무, 부대비용 등을 꼭 확인하세요.
- 금리만 볼 게 아니라 거치기간, 상환방식, 자동이체 할인 여부도 중요합니다.
본인의 신용점수와 기존 대출 정보에 따라 심사 결과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전 조회 서비스를 이용해볼 것을 추천드립니다.